Testing

[소프트웨어 테스팅] 테스트 계획

MASSO 2023. 7. 14. 20:20
728x90

테스트 관리 프로세스의 시작 활동
동적 테스트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계획 수립이 목적
테스트 목적 달성을 위한 테스트 컨텍스트(테스트 수행의 배경이 되는 다양한 요소들)설정, 다양한 측면에서 적절한 테스트 전략 수립, 테스트 수행 계획 수립

산출물 : 테스트 계획서

테스트 컨텍스트 명세(테스트 대상과 범위 설정)
- 테스트 계획 유형 : 프로젝트 테스트 계획/개별 테스트 계획(레벨 테스트/유형 테스트 계획)
- 테스트 대상 : 테스트 대상
- 테스트 범위 : 기능 및 비기능 등 테스트하고자 하는 피처
-  가정 및 제약 사항 : 표준, 정책, 인력, 일정 등 테스트 수행 시 반드시 고려/준수해야 할 사항
- 이해관계자 : 테스트 프로젝트의 결과에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

위험 분석 : 테스트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 발생 가능성과 위험도를 산정하고 위험 수준 결정
- 위험 회피 : 위험 요소 발생 가능성 또는 영향을 제거하여 위험 요소 발생을 원칙적으로 예방
- 위험 완화 : 위험 요소 제거 불가능 또는 너무 많은 비용 소요 시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계획
- 위험 수용 : 위험도가 매우 낮은 경우 모니터링, 위험 회피 또는 완화를 하기에 너무 많은 비용 소요 시에도 위험 수용
- 위험 전가 : 아웃소싱, V&V 분석 등의 방법으로 위험을 타 조직에 전가
- 프로젝트 위험 : 프로젝트 수행 중 테스트 프로젝트의 목적 달성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식별, 분석하여 조치 계획 수립
- 제품 위험 : 고객, 사용자 등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 할 가능성, 식별 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테스트 계획에 반영

테스트 전략 수립(테스트 범위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테스트 방법 결정)
- 개별 테스트
- 테스트 산출물
- 테스트 설계 기법
- 테스트 환경 요건
- 테스트 데이터 요건
- 재테스팅 : 결함을 검출한 테스트 절차(TC)를 활용하여 다시 테스트를 수행
- 리그레션 : SW에 가해진 변경시 의도하지 않은 결함을 만들지 않았으며 기존 요구사항을 충족함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
- 테스팅 중단 및 재시작 조건
- 테스트 메트릭 : 테스트 활동 수행과 결과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데 사용할 측정 메트릭 결정
- 테스트 완료 기준

테스트 수행 계획 수립(실제로 테스트를 수행할 조직/인력, 일정, 의사소통 등에 대한 계획 수립)
- 테스트 조직/인력 및 역할
- 테스트 활동 및 일정
- 의사소통(목적, 방법, 일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