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모니터링은 테스트 설계 및 구현 활동과 테스트 실행 활동에서 중요성이 높음
테스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전 과정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
실제 수행 상황이 계획과 일치하지 않으면 적절한 조치 필요
테스트 모니터링 및 제어 산출물 : 테스트 현황 보고서
테스트 종료 산출물 : 테스트 종료 보고서
테스트 모니터링 및 제어
- 각 동적 테스트 프로세스의 수행 상황을 테스트 메트릭을 이용하여 파악
- 이를 바탕으로 필요 시 조치를 결정하고 현황을 테스트 현황 보고서(계획 대비 진척도, 테스트 메트릭, 신규 및 변경 위험, 이후 계획 등이 포함)에 기록
- 테스트 계획서에 정의된 종료 기준 충족 시 테스트 종료 활동 시작
- 테스트의 진척도가 계획과 차이가 있을 경우 지연 원인 분석, 위험 관리 작업
* 위험 관리 작업 : 새로운 위험 요소 식별 및 위험도 산정/평가
- 테스트 산출물 중에서는 결함 보고서와 결함 추적 보고서가 모니터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테스트 활동 제어 유형
- 동적 테스트 활동의 시작 : 테스트 모니터링을 통해 테스트 계획서에 명시된 테스트 시작 조건 충족 시 해당 테스트 활동 시작
- 동적 테스트 활동의 종료 : 테스트 계획서에 명시된 테스트 활동 종료 조건 충족 시 해당 테스트 활동 종료
- 테스트 계획과의 차이 : 진행 상황이 테스트 계획서에 명시된 일정과 상이하다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 수행
- 위험 관리 : 새로운 위험이 식별되거나 기존 위험에 변동 발생 시 테스트 활동을 적절히 제어
테스트 제어 방법
- 테스트 컨텍스트 관점의 테스트 활동 제어 : 테스트 대상, 범위, 가정 및 제약사항 등을 변경
- 테스트 전략 관점의 테스트 활동 제어 : 기법/환경/재테스팅, 리그레션 테스팅 기준 조정 등
- 테스트 수행 계획 관점의 테스트 활동 제어 : 일정/인력 조정, 의사소통(테스트 상황 공유)
테스트 종료
- 테스트 종료 시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결과물을 이후 프로젝트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 자산으로 관리, 테스트 환경 요소들을 약속된 상태로 정리
- 테스트 수행 중 생성된 산출물 관리
- 테스트 환경을 약속된 상태로 정리하고 수행한 작업 및 결과를 테스트 종료 보고서(테스트 요약, 계획 대비 차이점, 방해 요인, 테스트 메트릭, 결함 목록, 잔존 위험, 완료 평가, 산출물, 재사용 가능한 테스트 자산, 교훈 등이 포함)에 기록
- 테스트 자산 관리 : 재사용 가능한 테스트 자산 식별(테스트 계획서, 테스트 설계 명세서, 테스트 케이스 명세서, 테스트 절차 명세서 등) 후 공유 시스템에 저장, 저장된 테스트 자산에 대한 적절한 형상 통제 및 형상 상태 보고
- 테스트 환경 관리 : 테스트 실행 시 사용되었던 환경을 원상태로 복구
'Te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TS 취득 (0) | 2023.08.30 |
---|---|
[소프트웨어 테스팅] 품질 부특성 (0) | 2023.08.11 |
[소프트웨어 테스팅] 테스트 실행 및 결함 보고 (0) | 2023.07.21 |
[소프트웨어 테스팅] 테스트 설계/구현 및 테스트 환경 구축/관리 (0) | 2023.07.18 |
[소프트웨어 테스팅] 테스트 계획 (0) | 2023.07.14 |